여행과 일

여행은 일이고 일은 여행이다

인도네시아 일상/인니 종교

행복을 만드는 공장

이부김 2005. 9. 1. 13:56
728x90
반응형

행복을 만드는 공장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산 위에 길 건너편에 아니면 지갑 속에?

아니다, 행복은 항상 우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 그렇게 가까운 곳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늘 깨닫지 못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행복을

찾기 위해 먼 곳으로 가고, 또 많은 시간을 들여 공부를 한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바쁘다.  그런 것들 때문에 경쟁에서 이기려고 가끔씩은

두뇌 싸움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날마다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피곤함을 느낀다.

 

많은 사람들이 찾아 나서는 그 행복이란, 우리의 눈으로 볼 수도 만질 수도 맛 볼 수도

없는. 더군다나 빌려 줄 수도 빌려 올 수도 없다. 하지만 느낄 수는 있다.

만약에 행복을 파는 곳이 있다면 다른 어떤 곳 보다도 더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사기 위해 반드시 줄을 서서 기다릴 것이다. 앞에서 말한 것이 정말일까?

아니다! 정말로 그런 것이 있다.

오래 전부터 있었고 나는 이미 그것의 유래에 대해 잘 알고 있다.

그 방법은 아주 쉽다. 물론,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내가 약간의 설명을 곁들이면, 그 행복의 공장을 지은 다음 한 사람의 사장과

  *열 두 명의 간부 직원들이 있었다. 그 다음 한 사람의 직원이 쫓겨 났다.

  그 사람은 인신매매와 같은 엄청난 부정 저질렀기 때문이다. 그런 일이 발생하자

  *사장은 부하 직원의 잘못을 자신이 대신해서 온 몸으로 책임을 졌다.

 

   그 사건이 있은 후 놀라운 일이 생기기 시작했다. 간부 직원들은 행복을 팔기에

  전심 전력으로 나섰다. 그들의 행복 판매 전략은 다단계였으며, 품질 보증 기간은

  살아 있는 일평생이라는 긴 기간으로 정해 두었다. 그리고 현재 여러 나라 곳곳에

  많은 *지사를 가지고 있다. 그 행복을 파는 회사의 회원이 되려면 우선 *한 권의

  책을 사야 한다. 그리고 품질 보증에 관한 공부를 해야 한다. 그 방법 또한 나는

  이미 알고 있다.

 

   행복을 사는 길은 이렇고 간단하고 쉽다. 하지만 그런 모든 것을 다 알면서도

   나는 오늘도 그 행복을 찾아 이렇게 헤맨다.

 

 

l 사장 : 예수님

l 한 권 : 성경책

l 열 두 명의 간부 직원 : 열 두 제자

l 지사 : 교회

                                            2005 8 4.

                                                 

                                 분주하던 날에 별과달

 

-----------------------------------------------------

 

Pabrik Yang Menproduksi Bahagia<인도네시아어>

 

Bahagia ada di mana? di atas gunung, di seberang jalan atau di dalam dompet?  Tidak! Bahagia itu selalu berada di dekat kita.  Meski pun paling dekat tetapi kita tidak pernah menyadarinya. Maka kita selalu sibuk, supaya mendapat kebahagiaan itu.  Selalu pergi jauh, belajar sambil dengan menyita waktu. Dan kadang-kadang berperang antara saingan dengan ide bagus. Oleh karena itu, kita selalu menyiksa jiwa dan badan.

 

Yang disebut bahagia itu, kita tidak bisa memegang, mencicip, dan tidak bisa melihat dengan mata. Apalagi meminjamkan dan dipinjam juga. Tetapi kita bisa merasakan. Kalau ada tempat yang menjual bahagia itu, setiap hari anterian menjadi panjang. Pasti lebih lamei daripada tempat lain.

 

Apakah kata-kata itu benar? Tidak!  Sebetulnya, Pabrik itu sudah ada sejak jaman dahulu, hanya kita tidak peduli. Riwayatnya, saya sudah tahu Jalan juga sudah hafal. Mendapatnya pun itu gampang,  memang bergantung diri sendiri.

 

Menurut pendapat saya perlu penjelasan sedikit saja. Setelah membangun pabrik bahagia itu,  diurus seorang manager dan staf dubelas orang. Lalu seorang staf diundurkan oleh karena korupsi yang luar biasa. Oleh karena itu manager sebagai atasan bertanggungjawab dan mengganti rugi dengan tubuhnya.

 

Setelah kasus itu mulai ada perubahan. Para staf aktif untuk menjual bahagia pada orang-orang. Lalu mereka membuka cabang dengan orang sales di seluruh negara. Setahu saya strategi mereka, secara multi level dengan garansi seumur hidup. Jika menjadi anggota, beli sebuah buku cukup untuk belajar garansi. Saya memang tahu pabrik yang menproduksi bahagia itu.

 

Demikian, kalau ingin bahagia mudah sekali. Meskipun tahu, tetapi hari ini juga saya tetap berkelana. Karena mendapat bahagia.

 

 

 4, Agustus 2005.

 Hari sibuk kim s.w

 

 

 

 

 

 

 

728x90
반응형